카인과 헤벨
“믿음으로 헤벨은 카인보다 더 좋은 제물을 드려 그가 의인이라는 것이 증명되었으니 하나님께서 그의 예물로 그를 인정하셨습니다. 자기 죽음을 통하여 그는 아직도 말하고 있습니다.”(예후다인들에게 11장 4절).
아담의 아들 카인과 헤벨은 품성이 현격하게 달랐다. 아벨은 하나님께 충성하는 정신을 가졌으며, 타락한 인류를 다루시는 창조주의 공의와 자비를 보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구속의 소망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카인은 반역의 감정을 품었으며, 아담의 죄로 인하여 땅과 인류에게 선고된 저주 때문에 하나님께 대하여 불평하였다. 그는 자신의 마음이 사탄을 타락으로 이끈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허용하였다. 그는 자기 찬양의 갈망과 하나님의 공의와 권위에 대한 의심을 품었다.
두 형제는 그들의 제단을 같은 모양으로 쌓고 각기 제물을 가져왔다. 헤벨은 주께서 지시하신 대로 양떼 중에서 취한 희생 제물을 드렸다. 야붸께서 헤벨과 그 제물은 열납하셨다.(처음에 4장 4절) 하늘에서 불이 내려와 그 제물을 살랐다. 그러나 카인은 주의 직접적이요 분명한 명령을 무시하고 과실만을 제물로 드렸다. 그것이 가납되었음을 보여 주는 아무런 표적도 하늘에서 내려오지 않았다.
헤벨은 구속의 대원칙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그는 자신이 죄인인 것과 죄와 그 죄의 형벌인 죽음이 그의 영혼과 하나님과의 교통을 가로막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는 죽임을 당한 제물 즉 희생된 생명을 드림으로 범해진바 된 토라의 요구를 승인하였다. 그는 흘려진 피를 통하여 미래의 희생 즉 마쉬아흐께서 골골타(칼바리-골고다)의 십자가에서 죽으시는 것을 바라보았다. 그리고 그곳에서 이루어질 속죄를 의지함으로 그가 의로워졌으며 그의 제물이 받으신바 되었다는 증거를 얻었다.
카인도 헤벨과같이 이 진리들을 배우고 받아들일 동일한 기회가 있었다. 그는 결코 하나님의 독단적인 목적의 희생자가 아니었다. 한 형제는 하나님께 받으신바 되고 다른 이는 거절을 받도록 선택되지 않았다. 헤벨은 믿음과 순종을 선택하였고 카인은 불신과 반역을 선택하였다. 모든 문제는 여기에 달려 있었다.
'지상 강의 > 성서 핵심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굴 모습이 말함 (0) | 2012.06.02 |
---|---|
하나님께로 가는 두 가지 방법 (0) | 2012.06.02 |
다시 본향에 (0) | 2012.06.02 |
아담이 후손을 가르침 (0) | 2012.06.02 |
값비싼 실수 (0) | 2012.06.02 |